반응형

2강: 환율이 우리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
1. 환율이 변하면 우리의 삶도 변한다
환율이 오르거나 내리면 해외여행, 물가, 주식시장, 부동산 등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우리의 경제 활동 전반을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다.
예를 들어, **환율이 오른다(원화 약세, 달러 강세)**면 해외 직구 가격이 비싸지고, **환율이 내린다(원화 강세, 달러 약세)**면 해외여행이 싸지는 이유를 이해하면 된다.
2. 환율과 개인 소비 (실생활 적용)
| 영향 받는 요소 | 환율 상승 (원화 약세, 달러 강세) | 환율 하락 (원화 강세, 달러 약세) |
| 해외여행 | 환전 시 더 많은 원화 필요 → 비용 증가 | 환전 시 적은 원화로 가능 → 비용 감소 |
| 해외 직구 | 수입 제품 가격 상승 | 수입 제품 가격 하락 |
| 유학·이민 | 학비, 생활비 부담 증가 | 학비, 생활비 부담 감소 |
| 기름값(유가) | 원유 수입 비용 증가 → 국내 기름값 상승 | 원유 수입 비용 감소 → 국내 기름값 하락 |
| 물가(인플레이션) | 원자재 수입 가격 상승 → 생활물가 상승 | 원자재 가격 하락 → 물가 안정화 |
- 해외여행 예시
- 환율 1,200원 → 1,400원이 되면, 같은 1,000달러 환전 시 20만 원 추가 비용 발생
- 환율이 낮아지면 같은 금액을 더 적은 원화로 환전 가능
- 해외 직구 예시
- 아이폰이 1,000달러일 때:
- 환율 1,200원 → 1,200,000원
- 환율 1,400원 → 1,400,000원
- 환율이 오르면 같은 제품을 더 비싸게 사야 함
- 아이폰이 1,000달러일 때:
- 기름값과 물가 예시
- 원유는 대부분 달러로 수입 → 환율이 오르면 기름값 상승 →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
- 기름값 상승 → 물류비 증가 → 물가 전반 상승
3. 환율과 기업, 주식시장
| 영향 받는 요소 | 환율 상승 (원화 약세, 달러 강세) | 환율 하락 (원화 강세, 달러 약세) |
| 수출기업(삼성, 현대 등) | 해외 판매 가격 경쟁력 상승 → 수익 증가 가능 | 해외 판매 가격 상승 → 수익 감소 가능 |
| 수입기업(이마트, 대한항공 등) | 원자재·제품 수입 비용 증가 → 비용 부담 | 원자재·제품 수입 비용 감소 → 비용 절감 |
| 주식시장 |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 → 주가 하락 가능성 | 외국인 투자 자금 유입 → 주가 상승 가능성 |
- 삼성전자 예시
- 삼성 스마트폰을 미국에서 1,000달러에 판매
- 환율 1,200원 → 1,200,000원 수익
- 환율 1,400원 → 1,400,000원 수익
- 환율이 오르면 수출기업의 수익 증가
- 항공사 예시
- 대한항공은 연료를 달러로 수입 → 환율 상승 시 연료비 증가 → 항공권 가격 상승 가능
- 주식시장 예시
- 환율 상승 → 외국인 투자자 달러를 들고 나감 → 주식시장 하락 가능성
- 환율 하락 → 외국인 투자자 달러를 원화로 바꿔 국내 투자 증가 → 주식시장 상승 가능성
4. 환율과 부동산, 금리
- 환율이 오르면:
-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 → 부동산 투자 감소 가능
- 원자재(철강, 시멘트 등) 수입 비용 증가 → 건설비 상승 → 분양가 상승 가능
- 환율이 내리면:
- 외국인 자본 유입 증가 → 부동산 시장 활성화 가능
- 건설 원자재 가격 하락 → 주택 가격 안정화
5. 실제 사례 분석
- 2022년 원/달러 환율 급등 사례
- 환율이 1,100원 → 1,400원까지 상승
- 해외여행, 직구, 유학 비용 급등
- 삼성전자, 현대차 같은 수출기업은 실적 개선
- 주식시장은 외국인 자금 유출로 하락
- 코로나19 이후 환율 변동과 소비자 영향
- 2020년 초: 경제 불안 → 안전자산 선호 → 환율 급등
- 2021~2022년: 미국 금리 인상 → 달러 강세 → 원화 약세
6. 환율 뉴스 읽는 법
- “원/달러 환율 상승” → 원화 가치 하락, 달러 강세
- “원/달러 환율 하락” → 원화 가치 상승, 달러 약세
- 금리 인상 뉴스와 환율 변화 관계 분석
7. 정리 및 다음 강의 예고
- 환율이 변하면 해외여행, 직구, 물가, 주식, 부동산까지 영향을 미친다.
- 환율이 오르면: 해외여행 부담 증가, 수출기업 유리, 수입기업 불리, 물가 상승
- 환율이 내리면: 해외여행 비용 감소, 수출기업 불리, 수입기업 유리, 물가 안정
다음 강의: “환율 변동의 주요 원인”
- 환율은 왜 움직일까?
- 금리, 무역수지, 경기 상황과 환율의 관계
3강: 환율 변동의 주요 원인
3강: 환율 변동의 주요 원인1. 공부 목표환율이 왜 오르고 내리는지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환율 변동을 일으키는 주요 요소(금리, 무역수지, 경기 상황 등)를 알아본다.실생활과 연결하여 환율 움
donbangsa.tistory.com
반응형
'궁금한 조각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강: 한국 경제와 환율 – 원달러 환율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 2025.02.25 |
|---|---|
| 4강: 강달러 vs 약달러 –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25 |
| 3강: 환율 변동의 주요 원인 (0) | 2025.02.25 |
| 1강: 환율이란 무엇인가? (0) | 2025.02.25 |
| 환율 공부하기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