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급실 Brain CT는 뇌출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CT 촬영을 통해 뇌출혈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1. 뇌출혈의 종류
뇌출혈은 발생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경막외출혈 (EpiDural Hemorrhage): 두개골과 경막 사이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주로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CT 촬영 시 볼록렌즈 모양의 고밀도 병변으로 나타납니다.
- 경막하출혈 (SubDural Hemorrhage):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급성 경막하 출혈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만성 경막하 출혈은 경미한 외상 후 서서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 CT 촬영 시 초승달 모양의 고밀도 병변으로 나타납니다.
- 지주막하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 공간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주로 뇌동맥류 파열로 인해 발생하며, CT 촬영 시 지주막 공간에 광범위한 고밀도 병변으로 나타납니다.
- 뇌실내출혈 (IntraVentricular Hemorrhage): 뇌실 내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주로 고혈압, 뇌동맥류 파열, 뇌혈관 기형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CT 촬영 시 뇌실 내에 고밀도 병변으로 나타납니다.
- 뇌실질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뇌실질 내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주로 고혈압, 뇌동맥류 파열, 뇌혈관 기형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CT 촬영 시 뇌실질 내에 다양한 모양의 고밀도 병변으로 나타납니다.

2. 뇌출혈의 CT 소견
- 출혈의 밀도: 급성 출혈은 CT 촬영 시 고밀도(흰색)로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도가 감소하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합니다. 만성 출혈의 경우 저밀도(검은색)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출혈의 위치와 크기: 출혈의 위치와 크기는 뇌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CT 촬영을 통해 출혈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고, 주변 뇌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합니다.
- 주변 뇌 조직의 변화: 뇌출혈 주변에는 뇌부종, 뇌경색, 혈종 등의 변화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CT 촬영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확인하고, 뇌출혈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조영 증강 효과: 일부 뇌출혈의 경우 조영제 투여 후 CT 촬영을 통해 출혈 부위의 혈관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동맥류 파열, 뇌혈관 기형 등을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뇌출혈은 발생 후 시간 경과에 따라 CT 소견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뇌출혈 환자의 CT 촬영 시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판독해야 합니다.


Reference
*Fig 1.
Phaphuangwittayakul, Aniwat & Guo, Yi & Ying, Fangli & Dawod, Ahmad & Angkurawaranon, Salita & Angkurawaranon, Chaisiri. (2022). An optimal deep learning framework for multi-type hemorrhagic lesions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in head CT images for traumatic brain injury. Applied Intelligence. 52. 10.1007/s10489-021-02782-9.
*Fig 2-3.
Hillal, A., Ullberg, T., Ramgren, B. et al. Computed tomography in acute intracerebral hemorrhage: neuroimaging predictors of hematoma expansion and outcome. Insights Imaging 13, 180 (2022). https://doi.org/10.1186/s13244-022-01309-1
반응형
'궁금한 조각들 >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의 피폭선량 및 한도 (1) | 2025.02.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