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조각들/의료

임산부의 피폭선량 및 한도

by 린드부름 2025. 2. 17.
반응형

방사선은 임신 중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임산부의 피폭선량은 엄격하게 제한됩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에서는 임산부의 피폭선량 한도를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태아의 피폭선량 한도

  • 임신 기간 동안 태아가 받는 피폭선량은 1mGy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이는 일반인의 연간 피폭선량 한도인 1mSv보다 훨씬 낮은 수치입니다.

임산부의 피폭선량 관리

  •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즉시 의료기관에 알려 방사선 검사 시 태아에 대한 피폭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특히 임신 초기(1~15주)에는 태아가 방사선에 가장 민감하므로, 불필요한 방사선 검사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임신 중 불가피하게 방사선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경우, 납 차폐복 등을 사용하여 태아의 피폭선량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방사선 검사 시 주의사항

  •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방사선 검사 전에 임신 여부를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 임신 중 방사선 검사가 필요한 경우,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고 검사 방법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태아의 건강을 위해 임신 중에는 가능한 한 방사선 검사를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1mGy와 1mSv의 양, 그리고 가슴 X선 검사 및 자연 방사선량과의 비교

1mGy (밀리 그레이)는 방사선이 물질에 흡수된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mGy는 1kg의 물질이 1mJ(밀리 줄)의 에너지를 흡수했을 때의 양입니다.

1mSv (밀리 시버트)는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생물학적 효과를 고려한 단위입니다.
1mSv는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를 고려하여 인체에 미치는 위험도를 나타냅니다.

단순 가슴 X선 검사 시 피폭되는 방사선량은 약 0.1mSv입니다.
이는 자연 방사선에 10일 정도 노출되는 양과 비슷합니다.

자연 방사선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연적으로 받는 방사선으로, 토양, 암석, 우주선 등에서 나옵니다.
한국인의 연간 자연 방사선량은 평균 3mSv 정도입니다.

비교

  • 1mGy는 물질에 흡수된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고, 1mSv는 인체에 미치는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 단순 가슴 X선 검사 시 피폭되는 방사선량은 약 0.1mSv로, 자연 방사선에 10일 정도 노출되는 양과 비슷합니다.
  • 한국인의 연간 자연 방사선량은 평균 3mSv 정도입니다
  • 일반인의 연간 한도 선량 1mSv는 자연 방사선량을 제외한 인공적인 방사선 피폭에 대한 한도입니다. 즉, 1mSv는 의료 검사, 산업 활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공적인 방사선 피폭량만을 의미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