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조각들/경제

5강: 한국 경제와 환율 – 원달러 환율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by 린드부름 2025. 2. 25.
반응형

 

5강: 한국 경제와 환율 – 원달러 환율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강의 목표

  • 원달러 환율이 한국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한다.
  • 수출·수입, 물가, 금리, 기업 및 개인 경제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 환율 변화에 따라 한국 경제가 취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알아본다.

2. 원달러 환율과 한국 경제의 상관관계

한국은 무역 중심 국가이므로 환율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원화 강세 (환율 하락, 1달러 = 1,100원) → 달러 가치 하락, 원화 가치 상승
📌 원화 약세 (환율 상승, 1달러 = 1,400원) → 달러 가치 상승, 원화 가치 하락

이 변화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하나씩 살펴보자.


3. 원달러 환율과 한국 수출·수입

①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

  • 환율 상승 (원화 약세) → 수출기업 유리
    • 원화 가치가 낮아지면, 해외에서 한국 제품을 싸게 구입 가능 → 가격 경쟁력 상승
    •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같은 대기업에 유리
  • 환율 하락 (원화 강세) → 수출기업 불리
    • 원화 가치 상승 → 제품 가격 상승 → 가격 경쟁력 하락
    • 수출이 줄어 기업 실적 악화 가능

사례

  • 2022년 환율 상승 → 삼성, 현대차 등 수출기업 호실적
  • 2014년 환율 하락 → 수출기업 수익성 악화

② 수입기업과 원자재 가격

  • 환율 상승 (원화 약세) → 수입 비용 증가
    • 원유, 가스, 곡물 등 원자재 수입 가격 상승
    • 한국은 에너지를 90% 이상 수입 → 원유 가격 상승 시 물가 급등
    •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예: 항공사, 정유업체)에 부담
  • 환율 하락 (원화 강세) → 수입 비용 감소
    • 원자재 가격이 낮아져 생산비 절감
    • 내수 기업(예: 음식료업, 유통업)에 유리

사례

  • 2008년 금융위기 → 환율 상승 → 유가 폭등 → 물가 급등
  • 2016년 환율 하락 → 원유·원자재 가격 하락 → 기업 비용 절감

4. 환율과 한국의 물가

  • 환율 상승 (원화 약세) →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 수입품 가격 상승 → 생활비 부담 증가
    • 원유·곡물·소비재 수입 비용 상승 → 기업 생산비 증가
  • 환율 하락 (원화 강세) → 물가 안정
    • 수입품 가격 하락 → 생활비 부담 감소
    • 기업의 원가 부담 줄어들어 제품 가격 인하 가능

사례

  • 2022년 환율 상승 → 휘발유, 식품 가격 급등 → 소비자 물가 상승
  • 2016년 환율 하락 → 물가 안정

5. 환율과 금리 정책 – 한국은행의 대응

📌 환율 상승 시 (원화 약세)
한국은행 금리 인상 가능성 증가

  •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 검토
  • 하지만 금리 인상이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도 있음

📌 환율 하락 시 (원화 강세)
한국은행 금리 인하 가능성

  • 수출 부진을 막기 위해 금리 인하 가능
  • 하지만 금리 인하 시 부동산 버블 가능성 있음

사례

  • 2022년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 2014~2015년 원달러 환율 하락 →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

6. 환율이 한국 기업과 가계에 미치는 영향

① 기업

수출기업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 환율 상승 시 유리
수입기업 (항공사, 정유사, 유통업체 등) → 환율 하락 시 유리

② 개인 투자자 (너와 나 같은 개미)

강달러(환율 상승) 시

  • 해외 주식·ETF 투자 부담 증가
  • 해외 여행·유학 비용 증가
  • 원자재 관련 투자 (금·원유) 상승 가능

약달러(환율 하락) 시

  • 해외 투자 부담 감소 (해외 주식 매수 기회)
  • 원자재 가격 하락

실제 사례

  • 2022년 환율 상승 → 해외 주식 투자자 부담 증가
  • 2017년 환율 하락 → 해외여행 증가

7. 정리 및 다음 강의 예고

  • 환율 상승 (원화 약세) → 수출 증가, 물가 상승, 금리 인상 가능
  • 환율 하락 (원화 강세) → 수출 감소, 물가 안정, 금리 인하 가능
  • 기업과 개인은 환율 변화를 고려한 전략이 필요

다음 강의: “환율과 금융시장 – 주식, 채권, 부동산과의 관계”

  • 환율과 주식 시장의 관계
  • 채권·부동산 가격과 환율의 영향

 

6강: 환율과 금융시장 – 주식, 채권, 부동산과의 관계

 

6강: 환율과 금융시장 – 주식, 채권, 부동산과의 관계

6강: 환율과 금융시장 – 주식, 채권, 부동산과의 관계1. 강의 목표환율 변동이 주식, 채권,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금융시장의 흐름을 읽고 환율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능력을

donbangsa.tistory.com

 

반응형